유니콘 기업 -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(1조 원)이상이고 창업한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뜻한다. [밀레니얼-Z세대 트렌드 2022]
NFT (Non-fungible Token) -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뜻하며,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각 토큰이 서로 다른 가치를 지닌 고유한 자산을 의미하며, 디지털 소유권이 보장되어 희소성을 가진다. [밀레니얼-Z세대 트렌드 2022]
밈 (Meme) - 인터넷에서 시작된 유행으로 커뮤니티, SNS 등으로 퍼진 여러 2차 창작물이나 패러디물을 뜻한다. 언어에 국한되지 않고 사진,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든다는 점에서 유행어와 차이가 존재한다. [밀레니얼-Z세대 트렌드 2022]
컨셉친 - 취향에 맞는 콘셉트 세계관 속에서 콘텐츠로 소통하는 MZ세대의 모습을 정의한 키워드이다.
임베디드 데이터 (Embedded Data)- 딥러닝 분석이나 오류 보고, 로그 관리 등의 이유로 중간 단계에서 이용자를 거치지 않고 머신 투 머신 (M2M,.Machine to Machine)으로 주고받는 형태의 데이터를 뜻하는 용어이다.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게임 스트리밍 (Game Streamming) - 클라우드에서 실시간으로 게임 데이터를 다운받으며 플레이하는 서비스를 뜻하는 용어입니다.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라이브 커머스 - 라이브 스트리밍과 이커머스의 합성어인 라이브 커머스는 판매자가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물건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뜻하는 용어이다.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텐트폴 전략 - 큰 이익이 날 수 있는 킬러 콘텐츠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이익을 취한 뒤에 낙수 효과로 나머지 마이너 컨텐츠에 투자하는 전략을 뜻하는 키워드이다. 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줌 트롤링 (Zoom Trolling) - 간혹 이용자들이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영상을 내보내는 행위를 뜻하는 용어이다.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종합지급결제사업자 - 전자 금융업의 모든 업무를 할 수 있고, 금융 결제망에 참가하여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계좌 발급 및 관리 업무가 가능한 전자 금융업의 최상위 라이선스이다. 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택티컬 어바니즘 (Tactical urbanism)- 처음부터 큰 예산을 들여 고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적은 예산으로 임시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해보면서 앞으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식의 전술적 도시계획 방법론을 뜻하는 키워드이다.[트렌드 코리아 2024]
리퀴드폴리탄 (Liqidpolitan)- 지역만이 갖고 있는 독튼한 문화적 자본으로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다양한 살마들의 시너지가 흘러넘치는 도시의 유연한 변화를 뜻하는 키워드이다.[트렌드 코리아 2024]
줌 바밍 (Zoom Bombing)- 초대받지 않은 인원이 회의장에 들어와서 회의를 방해하는 행위를 뜻하는 용어이다.[모바일 미래보고서 2022]
스핀오프 (Spin Off) - 새로운 가능성을 다양하게 '씨 뿌리듯' 시도해보면서도, 핵심적인 비즈니스 영역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뜻의 키워드이다. [트렌드 코리아 2024]
디토소비 (Ditto Consumption)- 나의 가치관에 맞는 대상을 찾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받아들이는 주체적 추종의 모습을 보이는 소비의 한 형태를 뜻하는 키워드이다.[트렌드 코리아 2024]
임플로이언서 (Emplyeeinfluencer)- SNS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는 내부 직원을 뜻하는 키워드입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4]
피보팅 (Pivoting) - 창업가가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품, 전략, 성장 엔진에 대한 새롭고 근본적인 경로를 구조적으로 수정하는 방향 전환을 뜻하는 키워드입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4]
멀티유즈 (OSMU, One Source Multi-Use) - 디즈니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로, 디지니는 하나의 캐릭터를 게임, 소셜, 웹툰, 캐릭터, 굿즈, 테마파크 등에 다양하게 활용하는 키워드입니다. [트렌드 코리아 2024]
판플레이 - 놀 거리의 집합, 일명 놀이 판의 ‘판’과 놀다라는 뜻의 ‘플레이(Play)’가 합쳐진 신조어로서 MZ세대의 트렌드를 정의한 키워드이다. [네이버 국어사전] 판플레이
마이 싸이더 (My-Sider) - 사회가 정의한 성공의 기준에서 행복을 찾는 것이 아니라 평범하여도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에서부터 행복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.[밀레니얼-Z세대 트렌드 2022]
체리 피커 (Cherry-Picker) -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으면서 실속만 차리는 소비자. 케이크 위에 놓여 있는 체리만 쏙 빼먹는 행위에 빗대 나온 말로 본래는 신용카드 발급 시 제공되는 서비스 혜택만 누리고 카드는 사용하지 않는 고객을 가리키는 말입니다. [트렌드 코리아 2023]
체리 슈머 (Cherry-Sumer) - 소비자끼리 합치고 나누고 쪼개며 극한의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. [트렌드 코리아 2023]
뉴디맨드 (New Demand) - 제품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사양 표준화되는 시장 상황에도 불가항력적인 수료를 만들어내는 수요 창출 전략을 뜻합니다. 요약하여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대체 불가능한 상품을 개발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론을 가리킵니다. [트렌드 코리아 2023]
퍼스트 마일 (First Mile)- 수출입 운송 서비스를 통해 이뤄지는 공한, 항만, 내륙 운송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미들 마일 (Midle Mile)- 운송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통 기업 간에 이뤄지는 운송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라스트 마일 (Last Mile)- 마지막으로 고객에게 전달되는 구간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엑스트라 마일 (Extra Mile)- 퍼스트 마일에서 라스트 마일까지의 구간이 끝난 다음, 고객의 변심이나 기타 사유에 의해 발생하는 반품이나 반송 등 추가적인 서비스를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CPS (Cyber Physical System)- 사물인터넷,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사이버 세상과 물리적 세상을 연계하고 동기화하는 과정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계획적 진부화 (Planned Obsolescence)- 내구 소비재의 대체수요를 늘리기 위해서 제품을 의도적으로 낡게 만드는 것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선제적 대응기술 (Proactive Technology)- 고객의 사용 흐름을 읽음으로써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기술, 나아가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을 표현하기 전에 고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,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필요를 깨닫기도 전에 미리 솔루션을 제공해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기술을 뜻합니다.[트렌드 코리아 2023]
멀티 페르소나 (Multi-persona) - 다수라듣 뜻의 멀티와 페르소나의 합성어로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개인이 빠르게 달라지는 상황에 맞추어 다른 자아를 표출하는 것을 의미한다. [밀레니얼-Z세대 트렌드 2022]